정부부처 앞다퉈 ‘딥시크’ 차단… “보안 문제 검토해야”카카오, LGU+ 등 ICT기업부터 시중은행까지 차단 나서이용자 개인정보 중국 내 서버에 저장… 해외도 차단 중
-
전세계 AI업계에 충격을 줬던 중국의 AI모델 ‘딥시크(Deepseek)’가 그야말로 기피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주요 정부부처가 일제히 ‘딥시크’의 접속을 차단한 것에 이어 주요 기업들도 차단에 나선 것.중국 내 저장되는 개인정보 및 주요 데이터가 자칫 중국 정부나 제3자에게 노출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AI 기술의 새로운 혁신을 불러 일으켰다는 평가를 받는 ‘딥시크’가 공교롭게도 중국 태생이라는 점으로 인해 한계를 맞이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6일 ICT 업계에 따르면 현재 ‘딥시크’의 접속을 차단한 정부부처나 기업은 적지 않다.앞선 5일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전날 접속을 차단한 데 이어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일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등이 접속을 차단했다.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은 이날 ‘AI산업 경쟁력 진단’에서 “‘딥시크’의 보안 문제점에 대한 검토를 해볼 필요성이 있지 않냐는 의견이 있어 조치하는 과정”이라며 “우리 부처도 여러 고민 끝에 접속 차단을 내부적으로 공지한 상황”이라고 말했다.정보통신을 담당하는 과기정통부의 ‘딥시크’ 차단이 이뤄지면서 다른 정부부처의 차단도 잇따를 전망이다.기업의 분위기도 비슷하다. 카카오를 시작으로 LG유플러스, SK텔레콤 등의 ICT기업은 물론 시중은행, 유통업계도 모두 ‘딥시크’ 접속 금지 공지를 올리고 차단에 나섰다.지난달 20일 공개될 당시만해도 전세계 AI기업에게 있어 혁신의 대명사로 꼽히던 ‘딥시크’가 이렇게 찬밥이 된 것은 다름 아닌 중국 AI라는 점 때문이다. ‘딥시크’의 개인정보정책에는 “수집한 정보를 ‘중화인민공화국에 있는 안전한 서버’에 저장한다”고 언급돼 있다.이 정보는 중국 정부로 전달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 지난 2021년 시행된 중국 데이터보안법에 따라 중국 정부는 중국 내에서 기업이 수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정부부처가 선제적으로 ‘딥시크’의 활용을 차단하고 나선 것도 이런 우려를 배제하기 힘들기 때문이다.이는 비단 국내의 문제가 아니다. 이미 호주와 일본, 대만은 정부 기관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고, 이탈리아는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다운로드를 차단했다. 미국 텍사스주도 주 정부 소속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