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취임 후 38% 하락…예상 밖 권력에 반감↑유럽에서도 판매 급감…주가 추가하락 전망도 나와
  • ▲ 일론 머스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연합뉴스
    ▲ 일론 머스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겸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과도한 권한 남용 등으로 각계 비판을 받는 가운데 테슬라 주가가 급락하면서 월가마저 등을 돌리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6일(현지 시간) CNN에 따르면 테슬라 주가는 이날 거래에서 5.6% 하락했다. 12월 최고점 대비 45% 하락했고 지난해 11월 대선 이후 상승분의 96%를 잃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머스크가 권력을 휘두른 이후 전체 가치의 38%를 잃었다.

    이를 두고 시장에선 테슬라 주가가 폭락하고 이미지가 나빠진 것이 머스크의 정치 행보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테슬라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았던 딥워터 에셋 매니지먼트의 관리 파트너인 지니 먼스터 역시 최근 "선거 당시에는 머스크가 트럼프 행정부에서 얼마나 눈에 띌지 불분명했지만 테슬라 투자자들은 머스크가 트럼프보다 더 많은 권한을 갖고 있다고 본다"며 "이로 인해 브랜드가 손상됐다"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막후' 조언자 역할을 너머 직접 정책 설계에 나서자 이에 대한 반감이 주가 하락을 불렀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미국과 유럽에서 머스크가 정치에 깊숙이 관여함에 따라 머스크와 테슬라에 대한 반감이 커지고 있다. 테슬라의 충전시설이나 테슬라 차량에 대한 방화와 기물파손이 계속되고 있다. 머스크에 대한 반대 시위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머스크의 정치 행보가 일으킨 반감으로 판매량도 크개 줄고 있다.

    지난 1월 유럽의 전기 자동차 판매량은 전체적으로 34% 증가한 반면 테슬라의 판매량은 50% 급감했다.

    시장에선 테슬라 주가가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고든 존슨 시장분석가는 CNN에 "중국에서의 판매 감소는 경쟁 때문이지만 서방 국가에서 판매가 줄어든 것은 머스크에 화가 났기 때문"이라며 "머스크가 이를 역전시킬 방법은 거의 없기 때문에 올해 테슬라 주가가 폭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