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세부 지급 계획 마련해 소통 나선다"실적 악화 규제와 이커머스 성장 탓" 경영실패 일축 홈플런 행사 연장 "현금 확보 아니야"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기업 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영업 정상화를 위해 소상공인과 영세사업자들의 상거래채권을 우선순위로 순차 지급 중에 있다고 12일 밝혔다. 약 1000개 테넌트를 포함해 모든 상거래채권을 순차적으로 지속 상환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홈플러스 측은 "이번주 중 세부 지급계획을 수립해 각 협력사, 테넌트들과 상세하게 소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홈플러스에 제기된 각종 의혹 해명에 나섰다.

    홈플러스 측은 MBK 인수 후, 입점비가 2배로 올랐다는 주장 및 권리금 관련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테넌트들에게 어떠한 형식의 입점비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입점 계약서에 점주들 간의 권리금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부분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며 "이는 모든 특수상권(백화점, 복합쇼핑몰, 대형마트 등) 업체들이 공통적으로 시행 중인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홈플러스는 경영실패로 인해 실적(매출)이 감소했다는 주장과 관련해서도 "사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홈플러스 측은 "실적 악화의 가장 큰 요인은 대형마트에 대한 지나친 규제 및 대형 이커머스 업체의 급속한 성장, 그리고 코로나 이후 소비자 구매 채널이 온라인으로 급격하게 이동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홈플러스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의무휴업 시행으로 약 1조원의 매출이 감소했다. 이에 더해 영업시간 외 배송 금지 규제가 소비자들을 이커머스로 이동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쿠팡의 매출이 2019년 7조원에서 2024년 41조원으로 증가한 것도 이러한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았다. 

    홈플러스는 진행 중인 ‘홈플런’ 행사 기간 연장 관련해서도 해명했다.

    이 회사는 “현금 확보를 위한 행사 연장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2023년부터 고객 반응이 좋은 상품을 중심으로 ‘앵콜 홈플런’ 행사를 진행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전년 동기 대비 유사한 실적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