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2월 소매판매 전달 대비 0.2% 증가, 예상치 하회베센트 재무장관 “건강한 조정이며 위기는 없을 것”저가 매수세 유입 이어지며 기술주 반등
-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2월 미국의 소매판매가 둔화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이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해 부인 속 저가 매수세 유입이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17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53.44포인트(0.85%) 오른 4만1841.63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36.18포인트(0.64%) 오르며 5675.12를 기록했고, 나스닥 지수는 54.58포인트(0.31%) 상승하며 1만7808.66에 거래를 마감했다.이날(현지시간 17일) 시장은 소매판매 지표 등에 주목했다.개장 전 발표된 소매판매는 예상치를 밑돌았다.미 상무부는 미국의 2월 소매판매가 7227억 달러로 전달 대비 0.2%, 전년 동기 대비 3.1% 각각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전달 대비 0.6% 상승)를 밑돈 수치다.2월 핵심 소매판매(통제그룹)는 1.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핵심 소매판매는 음식 서비스, 자동차, 건축자재, 주유소 판매액을 제외한 지표로, 국내총생산(GDP) 산출에 반영되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지표로 꼽힌다.지난 1월 소매판매 증감률도 전달 대비 0.9% 감소에서 1.2% 감소로 하향 조정됐다.전문가들은 앞선 1월 소매판매가 한파 등 일시적인 요인으로 보고 2월에는 지표가 크게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하지만, 1월 지표가 기존에 파악된 것보다 더 나빴던 것으로 조정됐고, 2월 소매판매가 기대에 못 미치는 혼합된 결과를 나타내면서 미국의 소비 둔화에 대한 우려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다만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판매가 전달 대비 0.3% 상승하며 시장 예상에 부합함에 따라 투심은 크게 위축되지 않았다.베센트 재무 장관의 발언도 더해졌다.베센트 장관은 전일 한 대담 프로그램에 출연해 최근 증시 약세에 대해 “정상적 조정이며 위기는 없을 것”이라 전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는 장기적으로 좋은 조세 정책과 규제 완화 정책, 에너지 안보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장은 좋은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이에 국채금리는 장기물 위주로 하락했다.이날 10년 만기 국채 금리와 30년 만기 국채 금리는 각각 4.300%, 4.597%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4.053% 수준까지 상승했다.이달을 포함해 상반기 금리 인하 확률은 더욱 낮아졌다.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시장은 현재 연준이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 금리 인하 확률은 0.00%를 기록중이다. 5월과 6월 기준 기준금리를 0.25% 인하할 확률도 각각 18.1%, 56.3%에 그치고 있다.이날도 기술주를 중심으로 과대 낙폭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이 이어졌다.애플(0.24%), MSFT(0.04%), 아마존(-1.12%), 메타(-0.44%), 테슬라(-4.79%), 알파벳(-0.73%) 등 대형 기술주가 혼조세를 보였다.엔비디아(-1.76%), AMD(3.59%), 퀄컴(0.88%), 브로드컴(-0.53%), 마이크론(2.30%), ASML(2.29%), TSMC(1.24%) 등 AI 반도체 관련주 역시 대체적으로 강세를 이어갔다.국제유가도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의 미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0.63% 오른 배럴당 67.33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