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은진·오주환·한세원·강희경 교수의 일침일각서 비판 의견 나오지만 환자단체 '감사' 정작 군대·제적 문제 해결해 줄 곳은 없어 박단 "교수라 불릴 자격도 없는 분들"
  • ▲ ⓒ뉴시스
    ▲ ⓒ뉴시스
    의료대란 초기 "제자가 환자보다 중요하다"던 일부 의대교수 발언이 있었고 수술이 시급한 환자는 억장이 무너졌다. 누군가는 시대의 희생양으로 사망했다. 1년이 넘는 의료공백 사태를 겪고 있는데 현장을 떠나거나 학교로 복귀하지 않는 젊은 의사의 억울함이 강조되고 있다. 

    그런데 사태 해결이 되지 않자 "의사면허 하나 있다고 오만하다. 의사와 환자의 이익이 충돌할 때 환자를 우선해야 한다고 배우지 않았냐"는 서울의대 교수들의 일침이 나왔다. 첫 꾸짖음으로 기록된다. 과연 제자와 후배를 위한 선배는 누구일까. 

    18일 의료계는 서울의대·서울대병원 하은진(신경외과·중환자의학과), 오주환(국제보건정책), 한세원(혈액종양내과), 강희경(소아청소년과) 교수 이름으로 지난 17일 발표된 성명으로 파장이 일고 있다. 

    이날 서울의대 비대위원장직을 맡았던 강희경 교수는 "욕먹을 각오로 제자를 꾸짖었다. 누군가는 총대를 메고 나서야 할 시기였다. 더는 현장을 지키고 있는 동료 의사, 교수들을 비난하거나 조롱하지 말고 환자의 피해에 공감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그는 "성명이 나간 후 공감한다는 의견이 많이 들어와 감사했다. 물론 익명으로 비판하는 분들도 있다. SNS 등에 남겨진 댓글 등은 확인하지 않았다. 전날 결정에 후회는 없다. 누구보다 제자를 아끼는 마음이 컸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의대증원 문제를 과학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론을 모색하며 일련의 토론회를 기획하고 보건의료제도의 기틀을 재정립하는 근거를 만드는데 집중하고 있다. 앞서 전공의 일관 사직 금지 등 젊은 의사 편에 서서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열악한 전공의 수련환경을 방조하는 의대 교수들이 '중간착취자'라는 전공의들의 의견에 공감했고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봉합을 논할수록 돌아오는 것은 날 선 공격이었다.

    사태는 점입가경으로 흘렀고 어떤 대안과 특례에도 젊은 의사는 수용하지 않는 상태가 됐다. 결국 필수의료는 대(代)가 끊길 위험에 처했다. 환자는 생과 사의 영역에서 공포에 떨고 있는데 이를 훈계할 선배 의사는 없었다. 

    대다수 의료단체는 각종 입장을 내며 의대생과 전공의 편을 들어주고 있지만 정작 군대 문제나 제적 위기에서 구해줄 곳은 보이지 않는다. 피해가 예상되는데도 이를 고려한 대책도 설계되지 않았다.

    이 지점에서 서울의대 교수들의 성명은 중장기적 제도 변화를 추구하되 죽어가는 환자를 살리고 의료체계 유지를 위해 젊은 의사를 향해 복귀 등 결정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제자들이 아니라 환자들이 가장 큰 피해자다"라는 문장이 성명에 담겼고 이에 환자들은 그간의 서러움을 씻을 수 있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고통의 시간에, 주변에 사망하는 이들이 속출하는데도 제자가 우선이라는 입장에 억장이 무너졌다. 1년 넘는 시간을 거치면서 유일하게 환자의 마음을 배려하고 참스승의 모습을 보인 서울의대 교수들에게 감사한다"고 입장을 냈다. 

    이들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현장을 지키고 있는 전공의 선생님들을 응원한다. 각종 비판에도 환자의 곁에 남아 있다는 것은 참으로 대단한 일"이라며 "정부는 각종 특례를 남발할 것이 아니라 남아 있는 젊은 의사를 향한 특혜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이번 성명은 공감과 지지와 함께 비판의 대상이 됐다. 사직전공의 대표 격인 박단 대한의사협회(의협) 부회장은 "교수라 불릴 자격도 없는 분들의 위선 실토이자 자백"이라며 공격의 수위를 높였다. 

    일부 의사단체들도 박단 부회장의 의견에 공감하며 4인의 서울의대 교수들을 향해 사과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