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이어 한진도 주 7일 배송 시행택배노조 "택배기사 건강권 보장 협의해야"일부 부산 CJ대한통운 대리점, 고율 수수료 책정29일부터 무기한 파업 예고, "대체인력 투입"
  • ▲ 택배노조가 지난 17일 한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가진 모습. ⓒ연합뉴스
    ▲ 택배노조가 지난 17일 한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가진 모습. ⓒ연합뉴스
    택배업계의 ‘주 7일 배송’이 확산되는 가운데 택배기사들의 건강권, 일부 대리점의 고율 수수료 등이 쟁점으로 떠올랐다. 택배노조가 농성에 돌입하고 파업 예고를 하면서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한진은 전날부터 휴일배송(주 7일 배송)을 시작했다. CJ대한통운이 올해 1월 5일부터 주 7일 배송을 도입하자 한진도 이에 동참한 것이다. 

    ㈜한진 측은 “주요 고객사 대상으로 기존 수도권에서 제공하던 휴일배송 서비스를 주요 도시로 확대해 시범운영에 들어갔다”면서 “급변하는 택배환경 속에서 회사와 집배점, 택배기사 모두 생존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택배노조는 “회사가 노조와 대화 없이 일방적으로 주 7일 배송을 강행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택배노조는 이달 17일 서울 한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가졌으며, 오는 29일에도 같은 장소에서 택배기사들의 과로위험 방지 등 건강권 위험을 해소할 것으로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할 예정이다. 

    택배노조는 지난 24일부터 한진 본사 앞에서 1인 시위와 농성을 이어가면서 사측을 압박하고 있다. 일단 택배노조는 주 7일 배송 자체에는 반대하지 않지만 택배기사들의 과로위험 방지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광석 택배노조 위원장은 “택배기사 건강권을 위해 한진과 대리점 측에 협의를 요구하고 있지만 무시하고 있다”면서 “한진과 대리점이 노조의 최소 요구조차 무시한다면 대대적인 반대 투쟁에 나설 것임을 분명히 경고한다”고 강조했다. 

    택배노조 측은 이달 21일 ‘한진 주 7일 배송 관련 신고센터’를 개설했고 25일까지 나흘 동안 140건의 신고가 들어왔다고 언급했다. 또한 응답자의 60%가 ‘참여하지 않을 경우 불이익이 있을 것’이라는 협박을 받았다고 전했다.  
  • ▲ CJ대한통운에 이어 한진도 주 7일 배송을 시작했다. ⓒ뉴데일리DB
    ▲ CJ대한통운에 이어 한진도 주 7일 배송을 시작했다. ⓒ뉴데일리DB
    반면, ㈜한진은 주 7일 배송은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선택이며, 이해관계자들과 소통을 진행해왔다고 반박했다. 

    ㈜한진 관계자는 “그동안 한진대리점협의회와 휴일배송 관련 협의를 지속적으로 해왔다”면서 “같은 기간 택배노조와도 대리점협회를 통해 소통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집배점 및 택배기사와 충분한 논의를 통해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택배노조는 일부 부산지역 CJ대한통운 대리점들이 카르텔을 형성해 고율의 수수료를 택배기사들에게 부과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택배노조 부산지부는 이달 24일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반적으로 대리점은 수수료를 공제한 금액을 택배기사들에게 지급한다”면서 “전국 평균 수수료율은 12% 수준이고 경주 6~8%, 울산 7%, 광주 5~10%이지만 일부 부산지역 대리점은 20%에 달한다”고 언급했다. 

    택배노조 측은 CJ대한통운과 단체협약 체결을 위한 교섭 과정에서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했지만 부산지역 대리점에서 완강히 거부해 오는 29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부산 지역에 약 1500명의 위탁 택배기사가 있으며, 이중 10%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에 대해 CJ대한통운 측은 “수수료율은 택배기사와 대리점이 계약 당사자라는 점에서 직접 개입하기에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 “다만 윤리경영 차원에서 수수료 투명성 문제에 대해 철저한 조사 및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파업이 진행되더라도 고객에게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체인력 투입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