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만에 공사비 1881억 인상…조합과 추가분담금 갈등이재명 대구 선거유세중 "억울하다고 우시는 분들 많아"이준석 지주택 폐지 공약…서울시 6월 고강도 실태조사매출 89% 주택사업 집중…규제강화시 실적타격 가능성
-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지난 9일 제3차 골목골목 경청투어로 방문한 경북 고령군에서 대구에서 온 시민들의 지역주택조합 관련 하소연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기대선 정국속에 지역주택조합사업(지주택) '대수술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내달 지주택 사업장에 대한 서울시의 고강도 실태조사가 예정된 가운데 이재명·이준석 등 주요 대선후보들이 지주택 폐지 등을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수술론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정치권의 칼끝이 점차 지주택으로 향하자 그동안 해당 사업부문 강자를 자처해온 서희건설(시공능력평가 18위)의 실적 전망에도 먹구름이 끼고 있다.2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전국 곳곳에 위치한 지주택 사업장이 급등한 추가분담금 탓에 몸살을 앓고 있다. 공사비 상승에 인허가 지연, 주택시장 불황 등 요인이 겹치며 분담금이 억단위로 치솟으면서 조합원들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추가분담금 인상을 둘러싼 시공사와 조합원간 갈등이 전국 곳곳에서 불거지자 정치권과 대선후보들도 지주택사업에 대한 주목도를 높이고 있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지난 13일 대구 선거유세 현장에서 서희건설의 사명을 직접 거론하며 지주택사업 개선의지를 내비쳤다.이날 이 후보는 "서희건설의 지역주택조합인가 뭔가는 왜 온동네에 문제를 일으켜가지고 괴로워하는 사람이 많습니까"라며 "안 그래도 어려운데 조합에 돈을 몇억씩 더내라고 한다고"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제가 이 근처를 다닐때마다 무슨 지역주택조합, 지주택 어쩌구 저쩌구하면서 억울하다고 우시는 분들이 많던데 여기도 그런데가 있군요"라고 말했다.이는 분담금 요구로 서희건설과 갈등을 빚던 내당3지구 조합원들이 민주당 대구시당 측과 면담을 가진 뒤 나온 발언인 것으로 전해졌다.내당3지구는 서희건설이 공사비를 증액한 사업장중 한 곳이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서희건설은 지난 1월 내당3지구 공사비 계약금액을 기존 2393억원에서 3068억원으로 28.2% 인상한 바 있다.정비업계 한 관계자는 "모든 정비사업이 그렇지만 특히 지주택은 사업이 지체될수록 조합원 부담이 급증하기 때문에 공사비 증액 요구에 울며 겨자먹기로 따르는 경우가 많다"며 "일단 첫삽을 뜨면 시공사가 갑의 위치에 있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
- ▲ 서희건설 사옥. ⓒ서희건설
한편 또다른 대선주자인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아예 지주택제도 폐지를 부동산공약으로 내걸었다. 대선공약으로 지주택 폐지가 거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만큼 지주택 문제에 대한 정치권 관심이 과거보다 높아졌다는 반증이다.일각에선 올하반기 국감에서 지주택이 주요 안건으로 채택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서울시도 지주택 사업장에 대한 대대적인 실태조사를 예고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8월부터 서울시 피해상담지원센터에 접수된 피해사례 452건을 분석한 뒤 다수 민원이 제기된 사업장을 대상으로 시·구 전문가 합동조사를 펼칠 예정이다.서희건설은 최근 1년간 내당3지구를 포함한 5개 사업장에서 공사비를 총 1881억원 인상했다. 공사비가 뛰면 그만큼 추가분담금이 오르고 이는 고스란히 조합원 부담으로 전가된다.조합원 입장에선 '저렴한 비용으로 내집마련'이라는 꿈을 안고 지주택에 가입했다가 수억원대 분담금 '폭탄'을 떠안게 되는 셈이다.공사비 인상에 조합원들이 반발하는 과정에서 입주가 지연되는 경우도 있다.지난해 9월 경기 광주시 탄벌동 '탄벌서희스타힐스(탄벌4지구 지주택)'는 시공사 서희건설의 유치권 행사로 입주가 중단됐다. 조합 측에 요구한 공사비 300억원 증액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유치권 행사로 입주를 막은 것이다.이런 가운데 정치권과 지방자치단체가 대선 후 규제를 강화해 지주택 시장이 위축될 경우 서희건설에 직격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이는 1분기 기준 매출 88.6%가 지주택 등 주택사업에서 나오는 수익구조 때문이다. 전철·화력발전 건설 등 토목·플랜트 매출비중은 8.48%에 불과하고 해외매출은 전무하다.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빈번한 공사비 갈등은 장기적으로 건설사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을 줄 수 있다"며 "논란이 되고 있는 지주택 경우 최근 각 지자체들이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분위기인 만큼 대선후 후속조치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