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무토건 미분양탓 유동성↓…올해 10번째 법정관리行지방 악성물량 적체…1396가구 모집에 겨우 96명 신청대구·평택 등 "공급 아직 남아"…금리인하 효과 제한적
  • ▲ 신축아파트 견본주택에 설치된 단지모형도. ⓒ뉴데일리DB
    ▲ 신축아파트 견본주택에 설치된 단지모형도. ⓒ뉴데일리DB
    시공능력평가 111위 영무토건이 미분양으로 인한 수익성 저하로 결국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올들어 벌써 10개건설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업계내 또다시 '줄도산 공포'가 빠르게 확산되는 분위기다. 특히 정부의 미분양대책이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지방에선 미분양물량이 계속 쌓이고 있어 하반기 줄도산 시계가 더욱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2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영무토건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된 결정적 요인은 미분양이었다. 지방사업장에서 발생한 미분양 여파로 지난해말 기준 대손충당금을 반영한 공사미수금이 714억원까지 증가하며 현금유동성 저하로 이어진 것이다.

    지난 1월 분양한 '양주 용암 영무 예다음 더퍼스트'는 1·2순위청약 경쟁률이 0.09대 1, '강릉 영무예다음 어반포레'는 0.16대 1에 그치는 등 최근 분양성적도 좋지 않았다.

    일선 중견·중소건설사들은 '남일 같지가 않다'며 위기감을 호소하고 있다.

    정부가 내놓은 기업구조조정(CR)리츠, 한국토지주택공사를 통한 매입 등 미분양대책에도 지방 분양경기가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서다.

    국토부가 발표한 '3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악성으로 불리는 준공후 미분양주택은 전국 2만5117가구로 2013년 8월이후 11년7개월만에 최대치를 찍었다. 특히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만 2만543가구로 전체 악성미분양의 81.7%가 집중됐다.

    하반기에도 악성미분양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이달 시평 83위 강산건설이 분양한 '평택 브레인시티 10BL 앤네이처 미래도'는 1·2순위청약 1396가구 모집에 96명만 신청하며 경쟁률이 0.07대 1에 그쳤다. 이밖에 경북 의성군에 공급된 '의성 골든렉시움'은 90가구 모집에 신청자가 단 한명뿐이었다.

    중견건설 A사 관계자는 "지방은 도심이나 역세권 입지도 흥행을 장담하기 어렵다"며 "특히 대구나 부산, 평택 쪽은 답도 없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더 큰 문제는 주요 미분양지역 공급물량이 아직도 남아있다는 것"이라며 "그동안 미뤄왔던 공급물량이 하반기에 풀릴 경우 미분양이 더욱 빠르게 늘어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분양업계 한 관계자는 "국토부 통계에서 악성이 아닌 일반 미분양 경우 전월대비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왔지만 이는 분양경기가 개선된 게 아닌 공급 위축에 따른 착시효과"라며 "미분양 매입 등 정부정책도 재원이 한정적인 만큼 한계가 명확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 ▲ 아파트 공사현장. ⓒ뉴데일리DB
    ▲ 아파트 공사현장. ⓒ뉴데일리DB
    이런 가운데 하반기 '제로에너지 건축물(ZEB) 인증제도' 시행으로 분양가 상승폭이 커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중견·중소사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 제도는 신재생에너지 등을 활용해 에너지 자립률을 높인 건축물에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국토부는 해당방안이 시행될 경우 공사비가 전용 84㎡ 기준 가구당 130만원 늘어난다는 입장이지만 건설업계는 실제 증가폭이 더 클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여기에 호재로 기대되는 기준금리 인하마저 지방 분양시장에선 영향력이 미미할 것이라는게 전문가들 시각이다. 한국은행은 29일 기준금리를 연 2.75%에서 2.50%로 0.25%포인트(p) 인하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이미 지방 주택시장은 미분양이 5만가구이상 적체된데다 공급 부담까지 가중돼 금리인하에 따른 수요유발 효과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며 "지방 미분양주택 매입시 양도세 감면, 취득세 완화 등 직·간접적 세제 방안을 내놔야 시장이 반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