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06년 6월 이후 9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금리인상 단행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반면 여전히 금리인상 시점을 두고 찬반논란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13일 주요외신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오는 16일(이하 현지시간)부터 이틀간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지난달 초까지만 해도 이달 인상 가능성을 유력하게 보거나 반드시 인상해야 한다는 견해가 우세했다. 반면 중국 등 세계 경제의 성장 둔화 가능성과 불확실한 미국의 경제지표가 발목을 잡으며 현재로서는 시점을 확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 9월 인상싸고 '찬성 VS 반대' 팽팽
현재 주요외신 및 전문가들은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의 목표치를 섣불리 올리기도, 유지하기도 애매한 상황을 맞고 있다고 분석한다.
우선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현재의 0∼0.25%인 '초저금리' 상태에서는 앞으로 어떻게 나타날지 모르는 경제 불확실성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금융위기에 대응하고자 2008년 12월 현재 수준까지 기준금리를 낮췄지만, 연준은 결국 채권 매입을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완화' 등 전례 없는 정책들을 쓴 뒤에야 추락하던 미국 경제에 간신히 낙하산을 펼 수 있었다.
양적완화는 미국 경제를 안정시키는 데 이바지했지만, 연준으로서는 발목에 납덩이를 하나 더 달게 된 셈이었다. 공개시장조작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통화정책 수단이 양적완화 때문에 사실상 무력화됐기 때문이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지난 5월 부터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올리겠다"고 선언한 점도 연준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
반면 금리 인상의 근거가 될 미국 경제지표들이 엇갈린 방향을 가리키고 있어 연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고용 측면에서의 임무는 이미 달성됐다. 지난 8월 실업률은 5.1%로 연준에서 완전고용 수준으로 간주하는 5.0∼5.2% 범위에 안착했기 때문이다.
반면, 물가 측면의 임무는 달성과 거리가 멀다.
연준이 물가지표로 삼는 핵심 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올해 들어 1.3%를 유지하다가 지난 7월에는 1.2%로 더 낮아졌다. 전체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올해 들어 전년 동월대비 0.2∼0.3% 범위를 맴돌고 있다.
두 물가지표 모두 추세만 보면 중기적 관점에서 2%로 반등할 것이라고 장담하기 어려운 상태다.
지난 11일 발표된 8월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이 0%에 머물렀고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가 작년 9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진 점 역시 물가 상승 기대를 어렵게 하는 지표들이다.
# "세계경제 아직도 불안한데..." 고민 깊어지는 옐런 의장
불안해지는 세계 경제 여건 역시 연준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망설이도록 하는 요인이다.
미국의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수정치가 잠정치보다 크게 높아진 3.7%였지만, 세계 경제의 불안은 언제든 미국의 성장률을 떨어뜨리고 고용 동향도 악화시킬 수 있다.
유럽이나 일본은 물론 중국에서도 자국 통화가치의 하락세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이 지금도 상대적으로 강세인 미국 달러화 가치를 더 끌어올릴 것이라는 점도 연준의 고민거리다.
여기에 지난달 중국발 금융시장 쇼크가 글로벌 경제를 강타한 이후 미국 금리인상 시기가 미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금리 인상의 부작용을 떠안아야 하는 금융시장 관계자들은 물론이고 유명 경제학자들부터 국제통화기금(IMF) 같은 국제금융기구나 중국 같은 다른 나라까지 미국에 금리 인상 연기를 주문하고 나섰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는 아예 금리를 올리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국제기구나 외국에서 '월권'이라는 비난을 무릅쓰고 미국에 특정한 방향의 통화정책을 요구하는 이유는 세계 경제에 미치는 미국의 영향이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미국을 제외한 주요 경제권이 좀처럼 경기 회복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전 세계의 자금 이동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불확실하다는 게 금리인상 연기론자들의 가장 큰 논거다.
당장 이달에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도 여전하다.
웰스파고 투자은행은 지난 8일 보고서에서 "지난달까지 두 달동안 비농업 신규고용 증가량 평균치가 20만9천 건이었고, 지난 7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대비 1.8% 상승하는 과정에서 서비스부문의 근원CPI 상승폭은 2.6%였다"며 이런 지표들이 기준금리 인상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의회조사국(CRS)은 지난 6월 발표한 통화정책 보고서에서 금융위기 발생 직후인 2009년 초에 미국 금융업계에서 '연준이 제때 긴축정책을 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택시장에서 자산 거품이 생겼고 결국 금융위기로 이어졌다'는 주장이 나왔던 점을 거론하기도 했다.
# 국내 전문가들 "인상 영향 제한적" VS "파급력 클것"
전문가들도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전망을 내는데 분주한 모습이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연내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은 일치하면서도 금리 인상에 따른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과 더불어 직·간접적 파급력이 상당할 것이란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은 우리나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봤다.
신 부문장은 "한국의 거시경제 건전성이 좋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외환보유액이 많고, 경상수지가 양호하며, 금융기관의 건전성도 좋다"고 평가했다.
다만 중국 금융시장이 크게 반응한다면 우리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당장 미국 금리 인상으로 인한 충격보다는 중국을 한 번 거쳐서 오는 위기에 흔들릴 가능성은 있기 때문에 그 가능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는 미국 금리가 오르면 파급력이 클 것으로 전망했다.
오 교수는 "우리나라보다 기초여건(펀더멘털)이 약하고 위기에 취약한 태국, 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에 첫 번째로 파급력이 퍼질 것이고 그 나라들이 어려워지면 우리나라는 2차 파장을 맞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용구 삼성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상의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시각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단기 충격은 있겠지만 장기 충격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금융시장에서 이미 알려진 악재는 막상 닥치면 충격이 생각했던 것보다 크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또 "오히려 그동안의 우려를 씻어냄에 따른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현재 미국에서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해 안에 올릴 경우 그 시점으로 9월과 10월, 12월을 거론하고 있다.
인상 폭으로는 목표치의 상단과 하단을 0.25%포인트만큼 한번 올려서 0.25∼0.5%로 만드는 방안이 가장 많이 거론되지만, 0.5%포인트를 올리는 방법이나 0.125%포인트만 올리는 형식 역시 언급되고 있다.
이달 또는 10월에 기준금리가 올라간다면 0.25%포인트만큼 한 번만 올릴 가능성이 가장 크게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