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데일리경제DB
    ▲ ⓒ뉴데일리경제DB


    2분기 메르스 여파로 하반기 실적 반등을 노리고 있는 대형 항공업계가 잇단 악재가 겹치며, 골머리를 앓고 있는 형국이다.

    최근 국적 항공기 조종사들이 중국 항공사들의 파격적인 조건을 뿌리치지 못하고 이직을 결심, 조종사 수급에 '빨간불'이 켜진 것은 물론, 최근 안전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며 이용객들의 외면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오는 추석 연휴기간 중 국내외 대형항공사 항공권 예약률 100% 달성 노선이 속출하고 있다.

    특히 항공권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추석 연휴에 대체휴일이 적용됨은 물론, 연휴 앞, 뒤로 개인휴가를 붙이는 사람들이 늘면서 전년 대비 국내외 노선 예약률이 상당히 높아졌다.

    이러한 긍정적인 요인에도 최근 대형항공사들의 하반기 실적을 바라보는 시선은 냉랭하기만 하다. 최근 한국 조종사들의 '탈한국' 현상이 이어짐은 물론, 최근 안전불감증 문제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가 최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한국인 조종사 퇴사자는 2013년 26명에서 2014년 27명, 올해 1∼7월 42명으로 급증했다.

    대한항공은 신규 여객기를 도입하면서 올해 한국인 조종사 105명을 채용하는 등 총원은 작년보다 소폭 늘렸지만 퇴사자가 급증하면서 내부적으로 술렁이는 분위기다.

    아시아나항공 역시 한국인 조종사 퇴사자가 2013년 24명, 2014년 31명, 올해 1∼7월 29명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퇴사한 한국인 조종사들은 국내에서 자리를 옮기기도 하지만 대부분 중국행을 선택하고 있다. 대한항공 경력 15년 기장의 평균 연봉 실수령액은 1억5000만원 안팎이 되지만 중국 항공사들은 연봉 2억∼3억원 이상을 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베이징 캐피털 에어라인은 한국 조종사에게 세후 연봉 3억4000만원(29만달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봉만 따질 경우 한국에서 일하는 것보다 못해도 2배는 더 버는 셈이니 그야말로 달콤한 유혹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중국 항공사측은 세금 부담이 낮고, 주택, 자녀 교육지원 등 다양한 혜택 등도 제시하고 있어 한국 조종사들은 분명 메리트라고 입을 모우고 있다.

    이처럼 '베태랑' 조종사들을 중국으로 뺏기고 있는 상황이다 보니 설상가상으로 최근 대형항공사들의 조종사 과실에 의한 사고 및 안전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모양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성태 의원이 국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 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 48건 중 조사 중인 7건을 제외, 27건(65.9%)이 조종사과실인 걸로 나타났다. 이는 국적 항공기사고 원인의 3건 중 2건이 조종사 과실인 셈이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안전문제가 수면위로 가장 많이 드러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국적 항공기가 최근 5년간(2010∼2014년) 안전문제로 회항한 사례는 84건이며, 이 가운데 아시아나항공이 30건으로 가장 많은 횟수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에만 10건의 회항사례가 있었는데, 아시아나항공이 6건을 기록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이 뿐만이 아니다. 안전규정 위반으로 가장 많은 행정처분을 받았다. 

    최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노근 의원의 국토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 국내 7개 국적항공사를 대상으로 총 21건의 안전규정 위반 행정처분이 이뤄졌으며, 이 중 아시아나항공이 7건으로 가장 많았다. 7건 중 년도별로 2012년 1건, 2013년 3건, 2014년 3건 순으로 행정처분을 받았으며, 총 2억70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 받았다.

    이에 따라 해외 이동이 잦은 이용객들은 항공기 이용시 국내 대형항공사를 기피하게 된다는 입장이다.

    회사원 B씨는 "개인적인 국내외 비지니스 업무들로 인해 항공기를 자주 이용하는데, 베태랑 조종사들의 이탈에 따른 대형 국적기 항공사들의 안전문제들로 인해 이용을 기피하는 것이 사실"이라며 "어느 기업이든 실수를 할 수 있지만 항공사의 실수는 곧 승객들의 목숨과 직결되는 만큼 해외 항공사를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숙련된 조종사 한 명을 양성하는데 상당히 오랜 시간과 재원이 투입되는 만큼 중국으로 인력유출이 더 심화하지 않도록 업계간 머리를 맞대고 조속한 대책이 필요한 시기"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