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심층토론회 등 협의 과정 보완
-
김경환 국토부 차관은 지난 25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용산공원 추진 상황' 기자 간담회에서 "용산공원에 신축 건물 조성은 없다"고 못 박았다.
국토부는 지난 4월 공청회를 통해 용산 부지 내에 존재하는 1200여 동 건축물 중 보존이 필요한 일부를 재활용하는 차원에서 '8개 시설물 활용방안'은 검토한 바 있다.당시 안건에 '신축'이 포함돼 있어 용산공원 설립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잇따랐다. 일부에선 건물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정부 부처끼리 '사업 나눠 먹기'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왔다.결국, 국토부는 의견수렵과 생태공원 계획 취지를 고려해 건물을 신축하지 않기로 했다. 보존·활용가치가 높은 기존 건물에 대해서도 기존 계획을 전면 재검토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 검토와 관계기관과 협의해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겠다는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도 "8개 시설물 활용방안은 사실상 백지화"라고 말했다.국토부는 용산기지 개발과정에서 소통 창구를 다양화해 민간이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공원 인근 주민과 일반 국민이 현장방문과 간담회 등을 통해 공원 조성계획 수립과정에 참여하는 국민참여단을 내년부터 운영한다. 다양한 현안에 대해 서울시·국방부·문화재청 등 주요 관계기관과 실무협의도 강화한다.특히 공원계획 기본구상을 담은 종합기본계획에서 제시된 '2027년 공원조성 완료' 추진일정을 사회적 의견과 주변 여건의 변화에 따라 최대한 유연하게 활용한다. 실제로 용산 미군기지 이전은 2017년 완료된다. 이후 지하벙커와 토양오염 조사 등 세부적으로 확인해야할 과제가 남아 있다.앞서 국토부는 부지조사(2009년)와 아이디어 공모 등을 진행했다. 2011년 수립된 용산공원 종합기본계획도와 용산국제업무지구 백지화 등 변화된 여건을 반영했다. 이후에도 생태중심의 단일 공원으로 조성하자는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2014년 변경·고시한 바 있다국토부 관계자는 "도시계획은 여건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진화해가는 것"이라며 "2027년 전면개방이 아닌 부분적 개방을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용산공원 조경을 담당하는 아드리안 구즈는 "100년 이상 일본군과 미군의 군사기지로 사용되면서 훼손된 용산 자연지형을 회복할 계획"이라며 "남산에서 한강으로 이어지는 녹지 축을 복원하겠다"고 말했다.한편 서울시는 국토부가 추진하는 용산공원 개발 방식을 두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국방부·방위사업청 청사와 드래곤힐호텔·헬기장·출입 방호 부지 등 미군 시설을 이전한 후 용산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이에 대해 국토부는 "용산공원 추진위원회·추진협의회에 서울시 공무원이 포함돼 있다"며 "서울시와 지속해서 합의해 용산공원 개발을 이끌어가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