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모래부두 이전은 넘어야할 산
  • ▲ '인천항 종합 발전계획'에 따른 해양관광벨트 조성도 ⓒ 해양수산부
    ▲ '인천항 종합 발전계획'에 따른 해양관광벨트 조성도 ⓒ 해양수산부



    인천 신항 전면개장에 대비한 항만물류기능 재편과 국제·문화·관광도시 조성을 추진할 '인천항 종합 발전계획'이 본격 가동된다.

    해양수산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인천항 종합 발전계획 2030'을 27일 발표했다. 총 사업비는 9조원, 경제 효과는 전국 33조원으로 예상되며 21만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수부는 지난해 9월 인천항 성장 전략 도출을 위한 용역에 착수하고 인천시, 항만 업·단체, 주민과의 의견 수렴을 거쳐 중장기 발전방안을 마련했다.

    인천항 물동량 증가율은 2010년 이후 연평균 1%에 그쳐 전국 평균(3.97%)에 못 미쳤지만, 올해는 신항 개장, 중국·베트남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라 컨테이너 물동량이 사상최대치인 268만TEU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첫 번째 발전 방안인 '항만별 물류기능 재편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수부는 신항, 남항, 내항, 북항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는 항만의 기능을 재정립하고 물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신항에서는 선박 대형화에 맞춰 기존 14m의 수심을 16m로 증심하는 항로 준설 작업을 내년 5월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이후 컨테이너 전용부두와 항만 배후단지도 단계적으로 공급한다.

    두 번째 방안인 '해양관광벨트 육성'을 위해서는 인천공항, 크루즈·국제카페리터미널과 연계한 관광벨트를 조성할 계획이다.

    남항에는 '골든하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2만 톤급 크루즈 전용부두, 국제 카페리 터미널과 복합 쇼핑몰 등을 입주시킬 계획이다. 영종 매립지에는 호텔, 쇼핑몰, 연구소를 유치해 복합 해양 수변공간으로 재개발한다.

    세 번째 방안인 '항만도시로서의 상생 모델 제시'를 위해서는 2030년까지 완공되는 영종도 준설초 매립예정지를 활용한다. 이곳에는 산학 연계형 혁신 신생사업체(Start-up) 지원기지, 청년 창업 공간 등을 유치해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신항~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간 나들목 건설 등의 교통 정비와 화물 철도, 남항 도시철도(인천 1호선 연장)와 같은 배후교통망 도입도 검토할 계획이다. 친환경 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 공급서비스 도입,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저탄소 친환경 항만 정책도 함께 추진한다.

    특히 석탄·모래 부두의 분진에서 비롯된 인근 주민의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 석탄·모래 부두의 이전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석탄 부두는 2022년까지 동해·묵호항으로, 모래 부두는 거첨도 부두·평택·당진항으로 분산 처리할 방침이다.

    이 같은 해수부의 발표에 인근 주민들은 구체적인 예정지와 이전 시기를 제시해 달라며 반발하고 있다. 인천항 인근의 중구 라이프아파트 주민들은 모래·석탄 부두의 분진과 소음을 이유로 인천시와 해수부 측에 오랜 기간 민원을 제기해왔다.

    라이프아파트 부녀회 관계자는 "이전 계획은 10년, 20년 전부터 수도 없이 들어왔다. 해수부는 개발 계획과 관련해 주민협의가 충분했다고 하지만 부녀회는 설명회 개최 사실조차 알지 못했다"면서 "언제, 어떻게, 어느 곳으로 이전하는지 확실한 계획을 제시하지 않는 한 이전계획을 신뢰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중 주민설명회를 한 차례 개최해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면서 "석탄 부두의 경우 강원도 영월지역 석탄의 이용도가 높아 동해안 발전전략 3단계에 따라 영월에 석탄 부두를 신설해 이전하며 2023년까지는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어 "모래 부두는 아파트 인근인 남항이 아닌 멀리 떨어진 다른 항으로 분산 처리할 것을 계획 중"이라며 "다른 항의 시설능력을 살펴본 결과 분산작업이 충분히 이뤄질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이전을 위해 부두 내 사업자 간 협의가 선제 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