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불변지수 '2.4%' 증가, 지난해 8월 이후 처음
  • ▲ 자료사진. ⓒ뉴데일리DB
    ▲ 자료사진. ⓒ뉴데일리DB


    구조조정, 청탁금지법 시행 등으로 위축됐던 숙박·음식점업 생산이 1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추석 연휴 효과, 청탁금지법 시행에 따른 기저효과 등 다양한 요인이 겹쳤다는 분석이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9월 숙박 및 음식점업 생산(불변지수)은 1년 전보다 2.4% 증가했다. 지난해 9월 1.6% 감소한 이후 올해 8월까지 12개월 연속 줄어들다가 1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다.

    세부항목을 보면 숙박업과 음식점·주점업 모두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숙박업과 음식점·주점업은 각각 1년 전보다 5.9%, 1.8% 증가하며 마찬가지로 모두 1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의 회복세는 계절 영향을 제외한 지수(계절조정지수)를 살펴봐도 뚜렷하다. 계절조정지수 기준으로 9월 숙박 및 음식점 생산은 전월보다 3.0%나 깜짝 증가했다. 이는 2015년 7월 7.1% 늘어난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전체 서비스업 생산이 전월보다 1.3% 증가한 점과 비교하면 증가 폭이 작지 않은 셈이다.

    숙박·음식점업은 지난해 청탁금지법 시행, 산업 구조조정 등으로 불황의 직격탄을 맞은 업종으로 꼽혀왔다. 특히 올해 상반기까지 약 1년여간 구조조정으로 실직한 사람들이 잇따라 자영업에 뛰어들면서 숙박·음식업종의 상황은 점차 악화됐다.

    다만 숙박·음식업 생산의 증가세 전환은 청탁금지법 시행 초기 과도하게 위축됐던 소비가 안정을 찾기 시작한 영향이 일부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법 위반과 적발에 대한 우려로 무조건 소비를 줄였던 사람들도 서서히 법의 테두리 내에서 정상적인 소비를 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실제 숙박·음식점업 생산(계절조정지수)의 전월 대비 증감 폭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1.5% 내외를 맴돌며 감소해왔지만, 올해 들어서는 0% 내외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9월 증가세는 10월 추석 장기연휴를 앞둔 반짝 효과일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통상 연휴 효과가 2∼3주 전부터 시작되는 점을 고려하면 10월부터 시작된 장기연휴가 9월의 생산 증가에 영향을 줬을 수 있다는 것이다.

    생산 둔화가 지난해 9월부터 본격화됐다는 점에서 기저효과 측면도 어느 정도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는 10월 추석 장기연휴라는 변수가 있는 만큼 음식·숙박업 경기가 실제로 살아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조금 더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