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감독·제재 선진화…사고 발생 시 1차 책임은 금융회사·핀테크
  • ▲ ⓒ금융보안원
    ▲ ⓒ금융보안원

    “이제 금융보안을 비용과 규제의 관점이 아닌 혁신을 위한 투자의 관점으로 볼 필요가 있다”

    금융위원회 손병두 부위원장은 7일 ‘금융 정보보호 컨퍼런스 2019’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근 금융권에서 디지털 뱅킹이 다양화되면서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도 예방하자는 의미다.

    손병두 부위원장은 “금융회사들은 보안관제에 대한 투자 확대와 동시에 사이버 공격 등에 대비한 위기대응 훈련을 통해 리스크관리 역량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우리 핀테크 기업들도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려면 금융회사 수준의 보안 인식과 투자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어 “오픈뱅킹을 통해 핀테크 기업들이 금융결제망을 이용할 수 있게 된 만큼 금융보안 강화에도 더욱 유념해 주길 바란다”라며 “정부도 금융보안 및 정보보호 인력이나 예산 등에 관한 기존 규제에 대해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의 자율성이 확대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금융회사에겐 더 강력한 조직체계를 갖추도록 주문했다.

    금융회사가 스스로 책임감을 갖고 클라우드 등 IT아웃소싱 확대에 따른 위험 요인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고민해 달라는 것이다.

    정부 역시 금융보안에 관한 관리·감독·제재 등의 방식을 선진화하고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이 정보보호·보안에 관해서는 1차적으로 책임을 지는 방안도 모색할 방침이다.

    끝으로 금융보안을 디지털 시대에 맞게 새롭게 정의하겠단 의지도 밝혔다.

    손병두 부위원장은 “금융보안은 단지 IT리스크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기술·산업적 측면의 다양한 운영리스크를 관리·통제하는 문제로 폭넓게 이해돼야 한다”며 “앞으로 정부는 IMF, FSB 등 국제 금융기구 논의에도 적극 참여하면서 소비자보호, 금융감독권 확립 등 금융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들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