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대금리 낮추고 가산금리 올리고KB·신한·하나·우리·NH 모두 인상주담대 상단 이미 7% 넘겨스트레스 DSR도 임박… 한도 감소 효과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은행들이 앞 다퉈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다. 

    최근 가계부채 증가세에 위기감을 느낀 정부가 은행권에 협조를 요청한데 따른 것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오는 3일부터 주담대 및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0.2~0.3%p 인상하기로 했다. 이번 금리 인상은 우대금리를 축소하는 방식이다. 

    앞서 우리은행은 지난달 13일에도 주담대 금리 0.1~0.2%p, 전세대출 금리 0.3%p를 올린 바 있다. 불과 3주 만에 대출금리가 최대 0.5%p나 오르는 것이다.

    은행권의 주담대 금리 인상은 하나은행이 먼저 스타트를 끊었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1일 비대면 주담대 상품의 금리감면율을 0.15%p 축소했다. 

    이후 KB국민은행은 지난달 11일 주담대 금리를 0.1~0.2%p 올렸고, 농협은행도 17일 주담대 우대금리를 0.2%p 줄였다. 이달 들어서는 지난 1일 신한은행이 주담대 변동금리를 0.05%p 인상했다.

    은행들이 주담대 금리 줄인상에 나서면서 변동금리(신규 취급액 코픽스 연동)는 연 4.55~7.18%로 상단이 7%를 돌파했다. 은행채 5년물을 준거금리로 삼는 주담대 혼합형(고정) 금리는 연 4.39~6.72% 수준까지 올랐다.

    은행권이 주담대 금리 인상에 나선 가장 큰 이유는 최근 가계부채 증가세가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KB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85조 7819억원으로 전월 대비 3조 4525억 증가했다. 

    이는 '영끌 대출' 열풍이 불었던 지난 2021년 9월(4조 729억원)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특히 주담대 증가 규모가 전월 대비 9월 2조8591억원에 이어 10월엔 3조1273억원으로 더 커졌다.

    이를 의식한 듯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은 지난달 29일 "가계부채 위기가 발생하면 1997년 외환위기의 몇십 배 위력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한편, 정부는 은행권의 대출금리 인상 협조와는 별개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과 같은 대출 규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변동금리 대출상품의 DSR 산정 시 향후 금리 상승을 예상한 가산금리를 적용하는 것으로,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