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121803, TYK2 저해제 계열의 경구제형으로 개발 중내년 상반기 비임상 연구 완료 후 임상 1상 IND 제출 목표
  • HK이노엔이 지난 15~19일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열린 2024 미국피부연구학회 학술대회에서 건선 치료제 후보물질 'IN-121803'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27일 밝혔다.

    IN-121803은 알로스테릭 티로신 키나아제2(TYK2) 저해제 계열의 신약 후보물질로 HK이노엔이 경구(먹는) 제형으로 개발 중이다.

    TYK2는 면역/염증 조절 단백질인 JAK(야누스 키나제) 단백질 중 하나로, 건선을 유발하는 단백질인 인터루킨-23(IL-23)과 인터루킨-17(IL-17)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IL-23의 자극을 세포 내로 전달해 면역세포가 IL-17을 생성하도록 유도한다.

    HK이노엔은 현재 IN-121803 물질을 도출한 상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BMS의 '듀크라바시티닙'보다 JAK 선택성이 개선됐고 다케다제약의 '자소시티닙'보다 혈중 노출도 및 효능이 우수하다는 게 HK이노엔 측의 설명이다.

    HK이노엔은 내년 상반기 비임상 연구를 마치는 대로 임상 1상 시험계획서(IND)를 제출하는 게 목표다.

    건선은 면역체계 이상으로 인해 전신에 나타나는 만성 피부질환으로 피부가 붉어지는 '홍반'과 하얀 각질이 일어나는 '인설'이 주요 증상인 자가면역질환이다.

    건선 치료제 시장은 2022년 265억달러(36조원)에서 2031년 605억달러(82조원)로 2배 이상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중증도 이상 건선 치료제는 항체 주사제가 주도하고 있어 경구제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높다. 

    HK이노엔 관계자는 "IN-121803은 기존 경구용 건선치료제보다 개선된 약효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는 약물"이라며 "새로운 파트너십을 발굴할 수 있도록 글로벌 학술대회에 연구결과를 지속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