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저축은행 라인업 확정… 온투사 선정 시간 걸려 이르면 4분기 가동저축은행 36% 신청… "신규 판매채널은 환영·연체율 우려"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이르면 오는 4분기 저축은행과 온라인투자연계금융사(온투사·구 P2P)의 협업이 시작될 전망이다. 저축은행의 새 판매채널이자 좁아진 서민 대출 창구의 대안이 될 지 기대된다. 두 업계의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서는 연체율 관리가 최우선이다.

    18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29개 저축은행이 금융위원회에 온투업 연계 투자 참여를 위한 혁신금융서비스를 신청했다. 금융위는 신청사의 온투업 연계 투자 계획을 심사해 3분기 혁신금융서비스 선정 여부를 결정한다. 선정되면 저축은행이 기존에는 할 수 없었던 온투업 연계 투자가 가능해진다.

    ◇퇴직연금 신규 판매중단 저축銀 중 신청사 1개 그쳐… 개인신용대출 사업 부담

    온투업은 대출 신청을 받아 온투사가 자체 CSS(신용평가모형)으로 신용도를 평가한 뒤 개인 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대출해주고 이자 수익을 받는 사업이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사업을 벌인다.

    온투사 측에서는 금융사의 참여를 반기고 있다. 수신 기능이 없어 개인 투자자에게만 자금 조달을 기대야 했기 때문이다. 정기예금 상품을 보유한 저축은행의 자금력에 온투사의 CSS 평가모형과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결합해 적극적 대출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축은행으로서도 온투업 진출은 새로운 판로 개척이다.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되면 온투사가 1차 대출심사를 하고 대출 신청자 정보를 저축은행에 공유한다. 저축은행이 대출 여부를 검토하고 최종적으로 자금 집행을 결정하게 된다.

    최근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이 신용등급 'BBB'급 저축은행의 퇴직연금 신규 상품 판매를 중단하면서 판매 채널이 줄어든 저축은행들이 온투업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는 일부 추측이 있었다.

    그러나 'BBB'급에 해당하는 4개 저축은행 중 혁신금융서비스 신청을 한 곳은 한 개사에 그쳤다. 신청하지 않은 저축은행 중 두 곳은 향후에도 온투업 진출을 고려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이번 온투업 진출로 개인신용대출 사업을 하게 되는데 중저신용차주가 대부분이라 연체율 관리가 우려된다"며 "보유 여신 중 개인대출의 질 관리에 모든 저축은행이 노력 중이라 앞으로도 진출을 고려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축은행이 진출할 온투업 분야는 100% 가계신용대출이다. 온투사가 개인신용대출에 높은 전문성을 갖고 있어 기업·사업자 대출로 확대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점쳐진다.
  • ▲ ⓒ금융위원회
    ▲ ⓒ금융위원회
    ◇연체율 관리 숙제… 금융위, 우수 온투사 선정 장고

    일부 온투사의 높은 연체율도 저축은행을 망설이게 하는 요소다. 각 사 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말 48개 온투사 중 연체율 15% 이상인 곳은 9개로 모니터링 대상에 지정된 상태다. 업계 2위인 투게더앱스의 연체율은 같은 기간 27.2%에 달했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위가 저축은행과 협업할 온투사를 지정하는 데 연체율 등 건전성과 전문성을 까다롭게 들여다보느라 긴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빨라도 4분기는 돼야 혁신금융서비스를 통한 대출이 막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한 온투업계 관계자는 "한국에 온투업이 합법화되고 활성화된 지 10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온투사들의 신용평가 전문성은 높은 수준"이라며 "고금리, 고물가 장기화로 인해 저신용차주의 연체율 상승이 나타나고 있지만 부실 우려는 너무 나간 해석"이라고 설명했다.

    이론적으로는 시너지가 예상되지만 연체율, 가계신용대출 보유량이 늘어난다는 점을 들어 일부 저축은행은 조심스러운 시선을 보내고 있다.

    실제로 전체 저축은행 79개사인 36%만 신청해 신청율은 높지 않다. 적극적으로 판매 채널 개척 의지를 보인 중소형사가 다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저축은행은 일단 서비스가 시작되고 수익성을 따져 다음 선정 기간을 노릴 방침이다.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유가증권 투자에도 한도 규제가 있는 등 수익 창출 창구에 한계가 있다"며 "일단 새로운 수익 구조를 만들어 낼 신규 채널이 생긴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채권 정리와 기존 연체율 관리 등 긴급 현안에 더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긴 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