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치 부합한 CPI, BOC 빅컷에 나스닥 2만선 돌파12월 금리인하 확실...내년엔 속도조절금리 인하 기대감에 빅테크 랠리 테슬라 6거래일 연속 상승, 사상 최고치 경신
-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나스닥 지수와 S&P 500 지수는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에 부합하며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며 사상 최고치를 또 다시 경신했다. 특히 나스닥 지수는 사상 처음 2만선을 돌파했다. 반면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소비재 하락에 소폭 하락 마감했다.11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9.27포인트(-0.22%) 내린 4만4148.56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9.28포인트(0.82%) 상승하며 6084.19를 기록했고, 나스닥 지수도 347.65포인트(1.77%) 오르며 2만34.89에 거래를 마감했다.이날(현지시간 11일) 시장은 미국의 11월 CPI에 주목했다.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11월) CPI는 전달 대비 0.3%, 전년 동기 대비 2.7% 각각 상승했다. 지난 10월 상승률(각각 2.6%, 0.2%) 대비 0.1%씩 올랐지나 모두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이다.변동성이 큰 에너지·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달 대비 0.3%, 전년 대비 3.3% 각각 올랐다. 이 역시 10월 상승률과 시장 예상치 모두 일치했다. 주거비와 식료품 가격이 오르면서 CPI 상승률이 소폭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주거비는 전월 대비 0.3% 올라 전체 CPI 상승분의 40%를 차지했다. 식료품은 0.4%, 에너지는 0.2% 각각 상승했다.이에 이달(12월) FOMC에서 금리 인하는 거의 확실시 되고 있다.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시장은 현재 연준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 금리 인하 확률은 98.1%를 기록했다. 내년 1월 기준 기준금리를 0.5%P 누적 인하할 확률은 23.2%를 기록했다.채권금리는 상승했다.이날 10년 만기 국채 금리와 30년 만기 국채 금리는 각각 4.274%, 4.482%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4.159% 수준까지 상승했다.캐나다 중앙은행(BOC)의 ‘빅컷’ 소식도 전해졌다.이날 BOC는 기준금리를 기존 3.75%에서 3.25%로 50bp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BOC는 지난 6월부터 다섯 차례 연속 금리를 인하했고, 지난 10월에도 금리를 50bp 내린바 있다.티프 맥클렘 캐나다은행 총재는 현재 경기침체를 예상하지는 않지만 성장이 예상보다 둔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내년부터는 점진적인 금리 인하를 예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위협에 대해서는 “중대하고 새로운 불확실성”이라고 평가했다.금리 인하 기정 사실화에 캐나다의 ‘빅컷’까지 더해지며 빅테크 중심의 상승세가 이어졌다.애플(-0.52%), MSFT(1.28%), 아마존(2.32%), 메타(2.16%), 알파벳(5.52%), 테슬라(5.93%) 등 대형 기술주는 이날도 대체적으로 강세를 보였다.테슬라는 6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지난 2021년 11월 4일 기록했던 최고가(종가기준) 409.97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트럼프 당선인의 대선 선거운동을 적극 도운 머스크가 최측근으로 부상하며 테슬라의 자율주행차 사업에 관한 규제가 대폭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 등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월가의 주요 증권사 및 IB의 테슬라 목표주가 상향 역시 주가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다.시가총액 1위 기업 애플은 음성비서 시리(Siri)와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챗GPT를 통합한 소프트웨어 출시 소식이 전해지며 장중 사상 처음으로 주당 250달러를 돌파했다.구글 모기업 알파벳도 구글이 자체 개발한 양자 칩 '윌로'를 공개한 후 주가가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엔비디아(3.14%), AMD(1.89%), 퀄컴(2.15%), 브로드컴(6.63%), 마이크론(4.03%), ASML(1.30%), TSMC(1.39%) 등 AI관련주도 상승했다.국제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의 미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2.65% 상승한 배럴당 70.41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