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FI, 작년 4월 이후 첫 2000선 아래로미국의 대중국 관세 조치에 중국도 '맞불'무역전쟁→물동량 감소→컨선 시황 악화신규 선박 속속 투입 … 공급 과잉 우려
  • ▲ ⓒHMM
    ▲ ⓒHMM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對)중국 10% 보편 관세 인상에 맞서 보복관세에 나서면서 '무역전쟁 2라운드'가 본격화했다. 미-중 관세전쟁에 따라 전 세계 물동량 감소와 함께 해상운임이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해상운송 항로 운임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7일 1896.65로 지난달 24일 2045.45 대비 148.8포인트 급락했다. 연초 2505.17 대비로는 500포인트 이상 떨어진 수치로, 가파른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SCFI가 2000선 밑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4월 26일 이후 약 10개월 만이다. 신규 선박 투입 지속과 미국 동부 항만 파업 철회, 중국 춘철 연휴에 따른 물동량 감소, 일부 글로벌 해운사들의 홍해 항로 운항 재개 등 영향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연초에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 예고로 중국이 ‘밀어내기’ 수출에 나서면서 해상운임이 강세를 보인 바 있다. 그러나 최근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조짐을 나타내면서 중국발 물동량이 줄고, 이에 컨테이너 시황이 악화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전 세계 모든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적용하는 보호무역 정책을 시행 중이다. 첫 타겟은 중국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오전 0시를 기해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 부과를 강행했다.

    이에 따라 미국에 수출되는 중국산 제품의 평균 관세율은 약 30%로 높아졌고, 전기차(100→110%)·태양광 웨이퍼(50→60%)·전기차 리튬배터리(25→35%) 등 미국이 이미 관세를 올린 중국 전략 산업 분야 관세율은 더 상승했다.

    중국은 미국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는 한편 10일 0시부터 석탄·액화천연가스(LNG)·석유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관세를 추가로 물리기로 했다. 텅스텐 등 광물 수출 통제와 구글을 겨냥한 반독점법 위반 조사 등 반격의 옵션도 다양화했다.

    양국의 관세전쟁 격화로 물동량이 줄어들 수 있다는 관측이다. 실제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트럼프 1기 행정부 1년 차인 2017년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율은 전년 대비 5.7%를 기록했으나 중국에 관세를 부과한 후인 2018년 4.4%, 2019년 2.2% 등 증가세가 둔화했다.

    코로나19 시기 대거 발주된 선박이 속속 항로에 투입되며 공급 과잉이 우려되는 점도 해운시황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선복량은 305만TEU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올해 206만TEU의 선복이 더 공급될 예정이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컨테이너선 시장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에서 “팬데믹 호황기에 대량 발주된 선박이 올해도 집중적으로 인도되면서 전체 선대 공급 증가율이 7.7%에 달해 전체 컨테이너선 시장 상황은 다소 어려울 것”이라며 파나마·수에즈 등 양대 운하의 통항 차질 장기화 여부, 글로벌 경제환경 개선에 따른 수요 부진 완화 등에 면밀한 모니터링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