셈법 달라 의사간 세대갈등 심화의협, 후배들 '복귀 명분' 부여 주장 대전협·의대협 대표들은 '강경 투쟁' 요구
  • ▲ ⓒ뉴시스
    ▲ ⓒ뉴시스
    의료계는 증원 0명이 확정돼야 젊은의사 복귀 명분이 주어진다며 정부의 조속한 결정을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의대생, 전공의들은 선배들이 더 거센 '강경 투쟁'을 하라고 선배들을 압박하는 모양새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전날 전국의사대표자회의를 열어 의대증원 0명 확정과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 해체를 요구했다.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내에서 2개의 안건이 처리돼야만 젊은 의사들의 복귀가 가능해진다는 논리를 세웠고 오는 20일 전국의사궐기대회까지 범위를 확장해 의지를 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김택우 의협회장은 "정부는 하루빨리 의료의 정상화를 위해 논의의 장을 마련해 의료농단 사태를 최우선으로 해결해야 한다. 그간 좌절의 늪에 빠져 있던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의료현장과 교육현장으로 돌아오는 길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의협의 요구가 받아들여지면 과연 젊은 의사들이 2024년 2월 이전인 상태로 돌아갈 수 있겠냐는 것이다. 

    의협은 젊은 의사의 복귀 명분을 만들기 위해 대정부 압박을 진행하고 있지만, 투쟁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 후배들의 판단이다.

    박단 의협 부회장 겸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선배들이 무엇을 해줄 수 있느냐"며 "선배들이 움직이지 않는다면 전공의·의대생이 나서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 비상대책위원장도 "학생들이 정상적으로 돌아가 수업을 듣기 위해선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확인됐다.

    젊은의사 대표들은 오는 20일 전국의사 궐기대회를 앞두고 선배들의 집단 휴진 등 고강도 투쟁을 요구한 셈이다. 

    의협이 강조한 복귀 명분은 정부와 대화를 하기 위한 조건에 불과하며 실제 협상의 근거로 작동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강경파 후배들의 주장이 강조되면서 의협이 설계한 투쟁과 대화 등 투트랙 전략이 먹히지 않는 구조가 됐다. 

    일부 의대 교수들과 지역의사회장들은 "투쟁 일변도의 관점에서 벗어나 사태 해결을 위해 중지를 모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의사들이 소위 '실력 행사'를 하는 것은 곧 환자들의 사망으로 이어지는 최악의 상황이 되기 때문이다. 

    모 환자단체 대표는 "정부를 향해 증원 0명과 의개특위 해체를 요구한다면 그에 합당한 의료정상화 약속을 하는 것이 마땅한 것 아니냐"면서 "투쟁을 강요하는 젊은 의사들의 요구가 환자에겐 큰 공포가 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