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 갈등 심화…"슈퍼컴에 사용 가능한 H20 수출 제한"엔비디아 시간외서 6% 이상 급락…삼전·SK하닉도 2%대 하락"엔비디아 매출 감소 우려가 시장에 반영"…"장중 변동성 유발"
-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서명된 행정명령을 들고 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 H20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비롯한 반도체주들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49분 기준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2.47% 하락한 5만5200원에서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SK하이닉스도 2.60% 내리며 17만5900원을 나타내고 있다. 한미반도체(-2.81%) 등 관련 종목도 일제히 하락세다.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 정부가 엔비디아의 H20칩에 대한 대(對)중국 수출 시 라이선스를 요구하면서 해당분 매출 감소 우려가 반영되고 있는 듯하다"며 "이에 마이크론과 브로드컴도 시간 외서 3%대 약세를 보이는 등 반도체주 전반이 영향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무역 압박을 강화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엔비디아는 15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소(SEC) 공시를 통해 "지난 9일 미국 정부가 H20 칩이 슈퍼컴퓨터에 사용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이유로 중국 수출을 제한했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엔비디아는 H20 칩 재고, 구매 계약, 관련 비용 등을 모두 반영해 총 55억 달러 규모의 손실을 회계 처리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내용이 발표된 직후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약 6% 급락했다.H20 칩은 현재 중국 시장에서 판매 중인 엔비디아 칩 가운데 가장 최신 모델이다.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텐센트·알리바바·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 등 주요 중국 IT 기업들이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수요 급증에 따라 올해 1분기 160억 달러 이상 주문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H20 칩은 다른 제품에 비해 연산 능력이 다소 떨어지지만 추론 단계에서 높은 성능을 보이고 고속 메모리 및 기타 칩과의 연결성이 뛰어나 슈퍼컴퓨터를 만드는 데 유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2022년부터 중국으로의 최첨단 반도체 수출을 규제하고 있지만 그간 합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AI 칩으로 평가받았다.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관세 협상 진행 소식, 미국 은행주 호실적 등 상방 재료가 상존함에도 엔비디아 발 악재가 장중 변동성을 유발할 전망"이라고 전망했다.다만 미국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이번 H20 수출 제한 조치가 주가에 부담을 주겠지만 크게 우려하지 않는다"며 "미·중 간 포커게임의 일환이며 엔비디아는 미국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자 AI를 실현하는 유일한 반도체 제조사"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