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환경 변화 따른 해운분야 리스크 선제 관리"
-
- ▲ 해양수산부 전경. ⓒ뉴시스
해양수산부가 최근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해운물류분야 통상현안 비상대응반'을 16일부터 본격 가동한다.최근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 및 유예 조치가 반복되고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의 보복관세 조치가 잇따르는 등 통상환경이 수시로 변동하고 있다.이에 해수부는 각 유관기관 간에 신속히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민·관·연이 함께 참여하는 '해운물류분야 통상현안 비상대응반'을 구성하고 이날 첫 회의를 개최했다.비상대응반은 해수부 해운정책과와 항만물류기획과가 총괄하고해운팀(한국해운협회), 항만물류팀(4개 항만공사), 수출·금융지원팀(한국해양진흥공사·한국무역협회), 국제물류팀(K물류 태스크포스), 동향분석팀(한국해양수산개발원·한국해양진흥공사) 등 5개 팀으로 구성됐다.이번 회의에서 해수부는 최근 각국의 통상조치가 해운업계에 미치는 영향과 국내 수출입 물류 및 항만물류 애로현황을 긴급 점검하고 유관기관과 앞으로 필요한 대응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최근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수출 중심의 우리 경제에 큰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는 가운데, 수출입물량의 99.7%를 책임지는 해운업의 안정성 확보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비상대응반을 통해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해운분야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