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식별 및 대응 목표
  • ▲ (왼쪽부터) 오경근 우미건설 스마트기술팀 팀장, 김혜원 건축본부 상무, 김은석 창소프트 대표, 김치경 단국대 교수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우미건설
    ▲ (왼쪽부터) 오경근 우미건설 스마트기술팀 팀장, 김혜원 건축본부 상무, 김은석 창소프트 대표, 김치경 단국대 교수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우미건설
    우미건설은 13일 서울 강남구 창소프트 본사에서 IT(정보기술) 전문기업 창소프트와 BIM(건설정보모델링) 기반 골조공사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BIM은 3차원 정보 모델을 기반으로 시공 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활용 가능하도록 시설물의 형상, 속성 등의 정보를 표현한 디지털 모형을 뜻한다. 창소프트는 BIM 솔루션 콘테크 기업으로 자체 개발한 원천기술로 국내 최초 삼차원(3D) BIM 상세 설계 도구를 출시했다.

    우미건설은 철근과 콘크리트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공 리스크를 사전에 식별하고 대응할 수 있는 골조공사 통합관리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현장 데이터를 BIM과 연계해 자동으로 분석하고 시각화함으로써 자재별 누락, 오시공 등을 사전에 검토하고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우미건설은 현재 이 시스템을 철근 공정에 우선 적용해 운영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콘크리트, 거푸집 등을 포함한 골조공사 전반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우미건설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건설과 정보기술이 융합된 프롭테크사업의 일환"이라며 "설계와 시공간의 오차를 줄여 시공품질과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디지털 기반의 통합관리로 현장업무 생산성과 원가관리 효율성까지 함께 향상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