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유치 줄줄이 실패… 주민 "수변도시 필요"
  • ▲ 검단신도시 ⓒ 연합뉴스
    ▲ 검단신도시 ⓒ 연합뉴스



    10년 만에 첫 삽을 뜬 인천 검단새빛도시 개발 사업이 기반시설 부족으로 대안이 필요한 가운데 경인아라뱃길과 연계한 수변도시 개발이 해결책으로 제시됐다.

    지난 24일 시는 스마트시티 무산 등 10년간의 지연 끝에 검단새빛도시 착공식을 가졌다. 18만여 명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건설될 새빛도시는 2023년까지 3단계로 나뉘어 개발된다.

    검단새빛도시가 본격 개발에 착수한 가운데 오랫동안 개발 부진을 겪어온 지역 주민들이 기반시설(앵커시설) 부족을 지적하고 나섰다. 서울과의 뛰어난 접근성으로 개발 사업에 모아지는 기대와 달리 검단신도시를 대표할 만한 앵커시설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앞서 시는 검단새빛도시에 중앙대 안성캠퍼스와 중앙대병원을 유치하려다 실패했다. 최근에는 두바이 자금을 끌어들여 스마트 시티를 건립하려던 계획도 무산됐다.

    이에 검단신도시연합대책위는 부족한 앵커시설 대신 검단신도시를 경인 아라뱃길과 연계한 수변도시로 개발하라는 내용을 담은 탄원서를 시에 제출했다. 탄원서에는 2600여 명의 검단 주민이 서명했으며 이는 전성수 인천시 행정부시장에게 제출됐다.

    대책위는 탄원서를 통해 △경인아라뱃길 연계 수변도시 개발 △검단새빛도시 브랜드 변경 △서울 지하철 5·9호선 중 1개 노선 유치 등의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대책위는 검단새빛도시 개발의 성공을 위해서는 사업 이름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빛도시가 지역의 특성과 정체성과 맞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대책위 주민들은 새빛도시 대신 '검단아라신도시'를 새 이름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인근 경인아라뱃길과 연계한 수변도시로 조성해 개발 효과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책위 관계자는 "주민들이 5년 전부터 명칭 변경을 요구했지만 인천시는 주민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채로 새빛도시라는 명칭을 정했다"면서 "새 명칭으로 검단아라신도시를 사용함과 동시에 아라뱃길과의 연계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부 지역 관계자들도 검단 지역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아라뱃길과의 연계개발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다만 아라뱃길 인근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인한 개발사업의 어려움은 풀어야 할 숙제다.

    앞서 인천발전연구원은 보고서 '검단신도시와 경인아라뱃길 연계방안'을 통해 검단신도시와 경인 아라뱃길 연계 개발을 통한 주거, 관광기능 활성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인천발전연구원 관계자는 "검단신도시와 아라뱃길 간 수변공간 연결, 도시철도역 신설, 보행자·자전거 도로 구축 등의 연계방안을 통해 신도시 기능 향상을 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아라뱃길 인근 개발제한구역이 개발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이는 관련 법 개정이나 친수구역 활용 특별법 등을 활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새누리당 인천시당 관계자는 "검단새빛도시의 성공적인 개발과 아라뱃길 기능 활성화를 위해 양 구역을 연계한 관광, 해양 레저기능 강화 등의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규제가 지나쳐 사업에 차질을 빚는다면 법 개정 등 정책적 지원을 당 차원에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