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일감 몰아주기·4개 순환출자 고리 고민돼순환출자 고리 해소용 지분 매입에 7조2000억원 필요정의성 부회장 승계까지 고려한 각종 시나리오 거론돼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김상조 신임 공정거래위원장이 취임하자마자 재별개혁에 칼을 빼들 것으로 알려지면서 현대차그룹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재벌개혁의 초점이 대기업의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순환출자 문제를 정조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현대차그룹은 두 과제를 모두 안고 있는데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문제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번주(19~24일) 재벌개혁안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달 인사청문회 자료 등을 통해 "취임 이후 고시 개정을 포함해 일감 몰아주기 관련 제도 전반을 개선하고 기업집단국을 신설, 대기업 내부거래와 일감 몰아주기를 제대로 감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상장사 규제 지분율 기준인 30% 문턱을 피하려고 29.9%로 맞추면서 편법으로 규제를 벗어난 기업이 적지 않다"고 지적한 바도 있다.

    이에 따라 재계는 현재 '총수일가 지분 30%'인 일감 몰아주기 규제 대상 계열사(상장사)의 기준이 '총수일가 지분 20%'로 강화되는 것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자산 10조원 이상 대기업진단에 속한 계열사의 경우 총수일가 지분이 20%가 넘고 계열사와 내부거래를 통한 부당 지원 여부를 집중적으로 감시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기준이 강화되면 현대차그룹의 경우 지배구조에서 중요한 물류 계열사 현대글로비스와 광고 계열사 이노션이 다시 규제 대상에 포함된다.

    현재 현대글로비스의 경우 정의선 부회장이 23.2%, 정몽구 회장이 6.7%의 지분을 갖고 있다.

    이노션의 경우 대주주가 정몽구 회장의 딸 정성이 고문(27.9%)이고, 정 부회장(2%)까지 총수일가의 전체 지분율은 29.9%다.

    현대차그룹은 4개 순환출자 고리도 과제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문재인 정부 10대 공약에 '재벌 순환출자 해소'가 포함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 "순환출자가 총수일가의 지배권 유지·승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그룹은 현대차그룹 하나만 남았다"고 지목했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은 현재 4개의 순환출자 고리를 갖고 있다.

    주요 순환출자 고리는 '현대차-기아차-모비스-현대차', '현대차-기아차-현대제철-모비스-현대차', '현대차-현대글로비스-현대모비스-현대차' 등이다.

    이 구조로 정몽구 회장과 정의선 부회장은 현대차에 대한 지분율이 한자릿수여도 그룹 전체를 지배하고 있다.

    순환출자 고리를 끊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총수일가가 계열사 지분을 사들이는 것이지만 비용 부담이 크다.

    한국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기아차의 현대모비스 지분(16.9%)을 정의선 부회장 등 총수일가가 사들이는 데만 4조원, 현대모비스의 현대차 지분(20.8%)을 매입하는 데는 7조2000억원이 필요하다.

    여기에 현대차그룹은 정 부회장의 그룹 승계까지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셈법이 복잡해 지배구조 개편 관련한 여러 시나리오들이 난무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현대차·기아차·모비스를 각각 투자회사와 사업회사로 나누고, 3개 투자회사를 합친 '지주회사'를 세워 순환출자를 해소하는 방식이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이 시나리오에 필요한 비용이 1조7000억원으로 다른 시나리오보다 적기 때문에 가장 현실적"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 시나리오는 지배력 문제로 실현가능성이 낮다는 의견도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이 방식에 대해 "실제 합병 시점까지 총수일가 지배력에 공백이 생기고, 개별 3사의 주총 통과 여부를 장담할 수 없다"며 실현 가능성을 낮다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현대차 분할, 기아차 분할, 모비스 분할, 모비스-글로비스 합병 등의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