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슨한 방역망에 거점전담병원 해제… 검역 강화가 유일 대책30일 발표 '음성확인서, RAT' 집중 검토신종변이 출현이 최대 변수… 방역체계 재정비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중국발 코로나19 유행 규모가 커진 가운데 내달 말 춘절을 기점으로 3년 전 코로나19 공포가 국내에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현시점 입국자 제한은 어렵더라도 전수 PCR검사를 진행해 국내 유입을 억제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지배적이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사라진 실외 마스크 자율화 시대인데다가 이달 말이면 거점전담병원도 해제돼 유일한 대책은 검역 강화로 좁혀진다. 만약 신종변이가 출현한다면 ‘위드 코로나’는 물 건너가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등에 따르면, 중국의 방역완화 조치에 따른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사태를 대비하고 있다. 내일(30일) 회의에서 일련의 검역 강화 조치를 발표할 계획이다. 

    가장 유력한 대책은 발열기준을 37.5°C에서 37.3°C로 강화한 데 이어 ‘출국 48시간 이내 음성확인서 제출, 신속항원검사(RAT) 의무화’ 등 옵션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신속항원검사 이후 PCR 검사를 통한 확진여부 판단은 일본과 비교해 다소 낮은 강도의 조치라는 평가다.

    실제 일본 정부는 오는 30일부터 중국에서 입국하는 모든 사람에 대해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우리도 최소한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 입국자 전수 PCR 검사를 시행해야만 국내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3년 전 춘절을 기점으로 코로나19 확산이 이뤄졌던 상황이 재현될까 우려된다. 지금 우리는 사회적 거리두기도 없고 백신 접종률도 낮고 거점전담병원도 해제돼 사실상 무방비 상태에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입국 제한과 같은 강도 높은 조치가 발동되기 어려운 시점임을 감안해도 중국 입국자 전수 PCR 검사 등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고민해야만 한다”고 조언했다. 

    국내 코로나19 재감염률은 17%를 넘어섰고 위중증·사망자 수의 증가 폭은 확진자 규모의 6배다. 주간 일평균 기준(18~24일) 위중증 환자는 528명, 사망자 수는 56명을 기록했다. 검사를 받지 않은 깜깜이 확진자가 많다는 의미다.

    이는 고강도 검역 강화가 필요한 상황임을 드러내는 지표다. 내달 말 춘절을 거쳐 국내 유행의 규모는 의료대응 자체가 어려운 고비가 발생한다. 

    특히 거점전담병원 해제가 임박한 상태인데 중환자병상 가동률은 40%에 육박했다. 일부 상급종합병원에서 코로나19 중환자 입원을 받지 않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는 병원계 전언이다. 

    이러한 방역 및 의료대응 환경은 유행의 파고을 줄이지 못하는 것은 물론 신종변이를 대응할 여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최소한 전수 PCR 등 조치가 발동돼야 하는 이유다. 

    신상엽 KMI한국의학연구소 상임연구위원은 “춘절을 기점으로 중국 내 확산이 증폭되면 오미크론 하위변이가 아닌 신종 변이가 발견될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라며 “여러 요인을 고려한 방역대책을 재정비해야 할 때”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