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불안→환율스파이크→공사비상승' 악순환 우려"주택사업 캐시카우 옛말"…선별수주 기조 강화 전망10대사 원가율 평균 93%…재건축·재개발 위축 가능성
  • ▲ 재개발 공사현장. ⓒ뉴데일리DB
    ▲ 재개발 공사현장. ⓒ뉴데일리DB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폐기로 정국이 안갯속에 휩싸이면서 건설업계도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환율 스파이크(대폭등)'로 인한 자재값 폭등이다. 이미 공사원가율이 90%이상으로 치솟은 상황에 자재값이 더 오르면 주택사업 '역마진'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원·달러 환율은 1424원대에 형성돼있다. 앞서 '12·3 비상계엄' 선포직후 야간거래에선 환율이 1442원까지 오르며 2022년 11월 이후 2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장에선 달러 강세 속에 원화가치가 하락하는 고환율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탄핵안 폐기로 정국 불안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환율 스파이크가 빈번해질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고환율은 건설업계에 직격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환율이 오를수록 건설자재값 수입비용이 비싸져 공사비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까닭이다.

    재건축·재개발 등 민간 도시정비사업은 물론 대형 사회간접자본(SOC) 등 공공공사까지 줄줄이 지연되거나 관련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

    이미 저마진 구조에 허덕이고 있는 건설사들은 선별수주 기조를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 경우 민간·공공개발사업이 시공사를 찾지 못해 첫발부터 꼬일 수 있다.

    현재 진행중인 사업 경우 발주처·조합과 시공사간 공사비 갈등이 재점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주택사업이 '캐시카우'라는 것도 다 옛말"이라며 "현재로선 강남권 등 일부 사업지를 제외하면 잘해야 본전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건설사들이 보통 환헤지(환율 위험분산)로 갑작스런 환율변동에 대비하긴 하지만 고환율이 지속될 경우 장기적으로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며 "불안정한 정국이 언제 끝나는지가 관건"이라고 부연했다.
  • ▲ 불꺼진 국회의사당 전경. ⓒ뉴데일리DB
    ▲ 불꺼진 국회의사당 전경. ⓒ뉴데일리DB
    이미 자재값과 공사비 상승으로 인한 원가율 부담은 건설사들이 감당하기 힘든 수준에 이르렀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보면 시공능력평가 상위 10대 건설사 매출원가율 평균은 92.6%에 달하고 있다.

    건설사별로 보면 △현대엔지니어링 95.8% △현대건설 95.5% △포스코이앤씨·롯데건설 93.7% △대우건설 91.6% △GS건설 91.5% △SK에코플랜트 91.0% △HDC현대산업개발 90.6% △DL이앤씨 90.5% 순이다.

    통상 건설업계에선 원가율이 80%대를 유지해야 안정적인 사업추진이 가능한 것으로 본다.

    일각에선 탄핵정국 지속시 당장 내년 도시정비사업부터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난달말 기준 올해 10대 건설사 도시정비 누적수주액은 21조5669억원으로 지난해 연간실적인 20조1796억원을 뛰어넘었다.

    상반기 주택시장이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고 금리인하 기대감까지 더해지며 건설사들이 공격적으로 수주에 나선 결과다.

    하지만 비상계엄에 탄핵정국이라는 초대형 악재가 터지면서 내년 도시정비시장 전망도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대형건설 B사 관계자는 "한남4구역처럼 사업성이 좋고 시공사 선정시점을 못박아 놓은 곳이 아니라면 재건축이나 재개발 일정이 미뤄질 가능성이 있다"며 "건설사들도 선별수주 기조를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중견건설 C사 관계자는 "기수주한 사업장을 유지하는 것도 벅찬 상황"이라며 "당분간 도시정비부문 신규수주는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우려했다.

    재건축·재개발 조합 및 추진위원회 관계자들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서울 양천구 목동 한 재건축 추진위 관계자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 폐지는 사실상 물건너 갔고 자재값 등 시장상황도 계속 악화될 것 같다"며 "공사비가 오를수록 조합원 분담금도 늘어 사업추진에 애로사항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