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말 153만4000가구…2015년대비 44%↑경기 주택 19% 빈집…도시슬럼화·범죄 등 우려
  • ▲ 도심내 빌라가 비어있는 모습. ⓒ뉴데일리DB
    ▲ 도심내 빌라가 비어있는 모습. ⓒ뉴데일리DB
    인구고령화 등 영향으로 전국의 집 100채중 8채는 빈집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이 통계청 주택총조사를 토대로 발표한 '연도별·지역별 미거주 주택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빈집 수는 2023년말 기준 153만4000가구에 달했다. 이는 전년대비 약 5.7%, 2015년대비 43.6% 늘어난 수치다.

    전국 빈집 수는 2015년 106만8000가구에서 △2016년 112만가구 △2017년 126만4000가구 △2018년 141만9000가구 등으로 늘었고 2019년엔 151만7000가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택가격이 상승세를 보인 2020~2021년엔 빈집 수가 139만5000가구까지 줄었지만 2022년부터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전체 주택 가운데 빈집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5년 6.5%에서 출발해 전반적으로 증가세다. 2019년 8.4%까지 치솟았다가 2021년 7.4%로 떨어졌지만 2022년 7.6%, 2023년 7.9%로 다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전체 빈집 가운데 18.6%를 차지했으며 경남(8.7%), 경북(8.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경기지역에선 평택 비중이 11.2%로 가장 컸고 △화성 8.1% △부천 6.3% △수원 6.1% △남양주 5.0%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대비 빈집 수 비중을 보면 전국 기준 인구 1000명당 빈집 수는 29.9가구로 2015년 20.7가구보다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전남 1000명당 67.2가구 △강원 54.0가구 △충남 53.1가구로 각각 조사돼 인구수가 적은 비수도권의 인구대비 빈집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주택대비 빈집 비중이 높은 경기지역 경우 인구수가 많은 영향으로 인구대비 빈집 수는 21.0가구로 적은 편이었다. 서울은 1000명당 11.5가구로 가장 적었다.

    건정연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빈집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기적으로 방치되는 빈집은 주변 주택까지 영향을 끼치고 빈집화할 가능성이 큰데다 안정상 문제와 도시 슬럼화, 그로 인한 범죄 등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다.

    고하희 건정연 부연구위원은 "지역내 빈집을 지자체 공유재산으로 편입한 뒤 정비·리모델링을 거쳐 저소득층과 청년층 임대주택으로 활용하거나 용도를 상업용으로 전환, 저렴한 대부료로 지역 사회에 기여하는 방안 등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