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고용규모 일반 벤처보다 작지만...출원 중 특허 수 많아 잠재성 높아정부 지원 시 '잠재력 평가'에 집중해야...실패해도 재기가능한 투자 중심 지원 필요
  • ▲ ⓒ중소기업연구원
    ▲ ⓒ중소기업연구원
    4차 산업혁명 벤처기업 활성화를 위해 인수·합병(M&A)을 촉진하고 인센티브제도롤 도입해 젊은 인터넷 세대를 아이디어 창출과 기술개발에 적극 끌어들여야 한다는 연구가 나왔다.

    이미순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의 현황과 과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벤처기업에 대한 기대감은 크지만 이들 기업은 투자자금과 전문인력 부족, 규제 부담감 등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이 미흡하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은 사물인터넷 분야가 340개(39.4%)로 가장 많다. 이어 로봇(194개, 22.5%), 가상현실·증강현실(60개, 6.9%), 빅데이터(58개, 6.7%), 3D프린터(57개, 6.6%) 순이었다.

    4차 산업혁명 벤처기업은 지난 2015년 매출과 고용규모가 각각 40억 원과 13.5명으로 집계됐다. 일반 벤처기업의 매출과 고용규모가 각각 69억 원과 23.3명인데 비해 작은 규모이고 창업 3년 이하 신생 기업 비중이 높고 수도권에만 몰려있었다. 특허 등록 건수는 적었지만 출원 중인 특허 수는 월등히 많다는 점에서 잠재성도 높다는 분석이다.

    이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 벤처기업을 위한 정책 방향 과제를 8가지로 제시했다.

    우선 4차 산업혁명 대상 기업이 많지 않은 만큼 정부 지원이 이뤄질 경우 적절한 규모와 속도로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들 벤처기업을 평가할 때 인적 자원의 잠재력 평가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소규모 초기 단계 기업 비중이 높다는 점을 감안해 실패해도 재기 가능한 투자 중심으로 지원하는 방안과 개방형 직위를 활용해 전문가를 영입하고 M&A를 촉진할 것을 제안했다.

    이 업체들 간의 교류와 협력 활성화를 위해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하는 등의 제도 개선도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각 지역 차원에서 대응력을 제고해야 하고 젊은 세대의 아이디어와 기술개발, 정책 디자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법들도 과제로 꼽았다.

    이 연구원은 "단기간 정량 성과 측정방식을 지양하고 기반과 토양 조성에 무게를 둬야 한다"며 "혁신경제 체제에 맞는 사회적 자본 확충이 4차 산업혁명시대 구축해야 할 중요 기반요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