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신한‧하나, 작년 말 CET1 비율 일제히 하락환율 급등에 RWA 증가로 자본비율 방어 안간힘RWA 목표치 부여‧패널티 적용 등 고강도 관리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지난 연말 금융그룹들이 환율 급등으로 재무 건전성에 타격을 입었다.

    사상 최대 실적에도 외화대출의 원화 환산액 증가 등으로 보통주자본(CET1) 비율이 하락하면서 주주환원 규모를 놓고서도 시장의 기대에 못 미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금융그룹들은 올해 위험가중자산(RWA) 목표치를 부여하고 이를 어길 시 페널티를 부과하는 등 고강도 자본비율 사수로 밸류업(기업 가치 제고)에 드라이브를 건다는 계획이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KB‧신한‧하나‧우리) 금융그룹 중 우리금융을 제외한 3대 금융의 지난 연말 일제히 자본비율이 하락했다. 

    KB금융의 지난해 12월 말 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은 13.51%로 9월 말 13.84% 대비 33bp(1bp=0.01%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기간 신한금융은 13.17%에서 13.03%로, 하나금융지주는 13.17%에서 13.13%로 각각 하락했다.

    우리금융의 경우 3개월 전(11.95%)보다 13bp 상승한 12.08%를 기록했다. 신규 기업대출을 중단하는 과감한 자산 리밸런싱을 단행했지만 12.2% 이상 달성이라는 연간 목표에는 못 미쳤다. 

    자본비율이 주춤한데는 대외적으로는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과 대내적으로는 비상계엄·탄핵 정국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9월 말 약 1320원 수준이던 원·달러 환율이 12월 말 1477원까지 뛰었기 때문이다. 환율이 오르면 은행이 보유한 외화자산의 원화 환산액이 늘고, 외화 RWA가 늘어 CET1 비율이 하락하게 된다. 

    CET1비율은 금융사의 손실 흡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위기에 얼마나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은행의 CET1비율은 통상 원‧달러 환율이 10원 오를 때 1~3bp 하락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금융은 지난 7일 2024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지난해 4분기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약 40bp의 CET1 비율 감소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천상영 신한금융 CFO(최고재무책임자)는 지난 6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환율이 100원 오르면 외화 RWA는 6bp 떨어진다”면서 “작년 신한금융 RWA가 5조8000억원 증가한 이유는 대부분 환율 때문”이라고 했다. 

    금융지주들은 환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전사적인 RWA 관리로 자본비율은 어느 정도 방어했다.

    그러나 원‧달러 환율이 여전히 1400원대 중후반을 오가고 있고,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으로 환율 변동성이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최악의 상황이 겹칠 경우 심리적 저항선으로 여겨지는 1500원대에 진입할 수 있다는 예상도 제기된다. 

    금융그룹들은 CET1 하락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신한금융은 계열사별로 RWA 목표치를 부여하고, 이를 넘길 경우 페널티를 부과해 RWA 성장률을 5% 이내로 제한하는 강도 높은 관리계획을 내놨다. 

    천상영 신한금융 CFO는 CET1 관리에 대해 “올해 우량자산 위주 질적 성장을 해 나가며 그룹 CET1 비율은 분기별로 13.1%로 관리할 것”이라며 “RWA 감축은 셀다운(재판매), 자산유동화, 신용이전거래를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나금융과 KB금융은 올해 RoRWA(위험가중자산이익율) 중심의 질적 성장 노력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우리금융은 RWA 성장률을 4% 내외에서 관리하며 신성장‧우량 기업 위주로 대출을 늘리겠다는 전략이다. 

    박종무 하나금융 CFO는 “올해 RWA 성장률을 명목 GDP 성장률 수준으로 가져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