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比 0.08%p 줄어 … 3개월 만에 하락
  • ▲ ⓒ금감원
    ▲ ⓒ금감원
    지난해 12월 은행권 대출 연체율이 연말 연체채권 정리규모가 늘어나면서 3개월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17일 금융감독원의 '2024년 12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작년 12월 0.44%로 전월 말(0.52%) 대비 0.08%포인트(p) 하락했다.

    연체채권 정리 규모가 4조3000억원으로 전월(2조원)보다 2조3000억원 늘어났고, 신규 연체 발생액도 2조5000억원으로 전월(2조8000억원)보다 3000억원 감소한 영향이다. 

    연체율은 전년 동월 0.38%에 비해서는 0.06%p(포인트) 상승했다.

    부문별로 보면 12월 말 기업대출 연체율은 0.50%로 전월 말(0.60%) 대비 0.10%p(포인트) 떨어졌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03%로 전월말(0.03%)과 같았고,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62%로 같은 기간 0.13%p 하락했다.

    중소법인 연체율은 0.14%p 떨어진 0.64%,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11%p 하락한 0.60%이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38%로 전월 말(0.41%) 대비 0.03%p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0.27%) 대비 0.01%p 내린 0.26%,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은 전월말(0.82%) 대비 0.08%p 하락한 0.74%였다. 

    전년동월비 가계대출 연체율은 0.03%p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은 0.03%p,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이 0.08%p 올랐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체율은 코로나19 이전 10년 평균 연체율 0.78%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해 은행권이 연체 우려 취약차주에 대한 채무조정을 활성화하도록 유도하고, 적극적인 부실채권 상‧매각 및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로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