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점유율 36% … 삼성전자 34%HBM 분야 시장 점유율 70% ‘승승장구’“HBM, AI서 영향 적어 美 관세 자유로워”
-
- ▲ ⓒ카운터포인트리서치
SK하이닉스가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SK하이닉스가 점유율 1위를 달성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9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는 점유율 36%로 1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34%로 2위, 마이크론은 25%로 3위에 이름을 올렸다.특히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분야에서 70%의 시장 점유율로 압도적 우위를 점했다.지난해까지만 하더라도 D램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SK하이닉스를 앞섰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작년 4분기 D램 공급업체의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39.3%로 1위를 차지했으며, SK하이닉스가 36.6%로 뒤를 이었다.업계에서는 HBM 수요가 유지되는 한 SK하이닉스의 시장 점유율은 2분기에도 견조할 것으로 보고있다. 미국발 관세 장벽에도 HBM 시장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관측돼서다.황민석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디렉터는 “단기적으로는 인공지능(AI) 수요가 강세를 보이기 때문에 HBM 시장은 무역 충격에 영향을 덜 받을 것”이라면서 “HBM의 주요 적용처인 AI 서버는 국경 없는 제품군이기 때문에 무역 장벽의 영향을 덜 받는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