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증 기반 확보… 조직개편 완료
-
- ▲ ⓒ에어프레미아
에어프레미아가 화물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며 고부가가치 특수 화물 시장 공략에 나선다.9일 에어프레미아에 따르면 기존 중국발 S&A(Sea and Air) 중심의 단일 화물구조에서 벗어나, 의약품과 신선식품, 전자부품 등 고부가 화물 수송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특히 양대 국적 항공사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의약품 항공 운송을 수행한 사례를 확보하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에어프레미아는 지난 4월 말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기준의 의약품 운송 인증체계인 'CEIV Pharma' 기준을 준수해 항암제 등 의약품 수송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현재 'CEIV Pharma'와 'CEIV Fresh'(신선식품)에 대한 공식 인증도 추진 중이다. 향후에는 냉장 특수 컨테이너 '이글루(Igloo)'를 활용한 프리미엄 운송 서비스도 도입할 예정이다.에어프레미아는 미국계 글로벌 물류 플랫폼사와의 협업을 통해 전자상거래 물류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휴대폰과 자동차부품, 양극재 등 일반 화물의 품목도 다변화했다.올해 1월 자체 화물 영업을 시작한 에어프레미아는 4월 기준 미국 도착 화물 중 C커머스 비중은 50.9%로, 전년 동기 85% 대비 크게 축소됐다. 대신 고부가가치 품목은 ▲휴대폰·자동차부품 29% ▲의약품 등 특수화물 5.2% ▲신선식품 3.3% ▲미주 커머스 9.5% 등으로 확대됐다.화물사업 고도화를 위한 조직 개편도 단행했다.2025년 1월부터는 기존 단일 조직을 '화물사업팀', '화물영업팀', '화물운송팀'으로 세분화해 운영 중이며,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인력 확충과 IT 시스템 개선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현재 에어프레미아는 LA, 뉴욕, 샌프란시스코, 방콕, 나리타, 다낭, 홍콩 등 7개 노선에 취항 중이며, 인터라인 네트워크를 포함한 약 90개 노선에서 글로벌 화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오는 7월에는 하와이 신규 노선을 추가해 미주 및 태평양 노선의 화물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에어프레미아 관계자는 "화물사업 다변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시장 내 입지를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며 "노선 전략과 조직 역량, 인프라 혁신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화물사업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