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중 12.6조 구조조정…업계 후폭풍 예의주시비주거시설·지방분양 리스크↑…사업비 회수 난항
-
- ▲ 불꺼진 공사현장. ⓒ뉴데일리DB
금융당국이 내달까지 12조6000억원 규모 부실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대한 정리·재구조화에 나서기로 하면서 건설업계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PF부실에 노출된 지방사업장 비율이 높은 지방 중견·중소건설사 경우 구조조정 여부에 따라 '돈맥경화'에 시달릴 수 있어 위기감이 고조되는 양상이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구조조정 여파로 PF사업 참여요건이 까다로워질 경우 중소견설사들의 수주 보릿고개가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22일 금융당국은 오는 6월까지 총 23조9000억원에 이르는 부실 부동산PF 가운데 52.7%인 12조6000억원에 대한 구조조정을 마칠 계획이다.우선 올해 들어 3월말까지 9조1000억원 규모 부실PF를 정리했고 2분기중 3조5000원을 추가로 정리할 예정이다.정리·재구조화 이후인 오는 6월말 잔여부실 규모는 11조3000억원 수준일 것으로 추정된다.그간 금융당국은 금융사의 객관적·합리적 PF사업성 평가를 유도하기 위해 '사업성 평가기준'을 개선하고 부실사업장을 솎아내는 '옥석가리기'를 추진해왔다.정부의 강도높은 PF 구조조정 속에 건설업계는 시장 후폭풍에 예의주시하고 있다.구조조종 결과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PF사업 경우 정리·재구조화를 통해 새로운 사업주체를 찾거나, 경·공매를 통해 매각된다. 하지만 건설부동산시장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만큼 매각이 원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시공사 등 사업주체의 유동성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특히 지방 분양단지나 비주거시설 사업장이 많은 중견·중소건설사 경우 PF 구조조정의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중견건설 A사 관계자는 "겨우 경·공매로 부실사업장을 정리하더라도 그동안 지출된 금융이자 및 사업비를 회수하기는 어렵다"며 "부실사업장 갯수가 많은 시행사나 건설사 경우 현금이 돌지 않아 존폐 위기에 몰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또다른 건설업계 관계자는 "구조조정 대상인 부실PF 사업장은 지식산업센터·물류센터 등 비주거시설, 지방 분양사업장에서 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들 사업은 중견·중소건설사들의 주요 먹거리로 구조조정 여부에 따라 현금유동성 악화, 줄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구조조정에 따른 수주가뭄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구조조정으로 PF사업 추진여건이 강화될 경우 시행사와 건설사들의 신규발주가 위축될 수밖에 없고 이는 수주양극화, 중소건설사들의 수주 가뭄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게 업계 시각이다.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부실 위험이 높은 PF사업장을 선제적으로 잘라낸 것일뿐 구조조정 결과로 시장업황이 나아진 것은 아니다"며 "PF시장이 침체되면 그만큼 신규사업이 위축되고 이 경우 중소건설사들의 일감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